맨위로가기

은적사 (대구 남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은적사는 대구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사찰로, 926년 신라 경애왕 3년에 고려 태조 왕건의 명으로 영조대사가 창건했다. 왕건이 후백제와의 전투에서 패한 후 은신했던 동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임진왜란 이후 중창과 재건을 거쳐 현재에 이른다. 현재 불교 행사, 봉사 활동, 유치원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대웅전, 삼성각, 설법전, 법해당 등의 건축물과 목조석가여래좌상, 탱화 등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화사 - 안일사
    안일사는 927년 영조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독립운동의 거점으로 활용되었으며, 대구 안일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등 볼거리가 있고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 동화사 - 대구 동화사 삼장보살도
    대구 동화사 삼장보살도는 죽은 이의 영혼을 천도하는 의식에 사용되는 불화로, 1728년 제작되었으며, 조선 후기 삼장보살도 연구에 중요한 기준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대구광역시의 절 - 파계사
    파계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되어 아홉 갈래 물줄기를 모아 기운을 보존한다는 의미를 지닌 사찰로, 조선시대 왕실의 보호를 받았으며, 현재 다양한 전각과 여러 지정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절 - 부인사
    신라 선덕여왕 때 창건되어 고려 시대 초조대장경을 봉안하며 번성했던 부인사는 몽골 침입과 임진왜란으로 소실 후 중건되었으며, 대웅전, 선덕묘와 함께 승시가 열렸던 절터, 포도밭, 당간지주 등의 유적이 남아있다.
  • 신라의 절 - 백담사
    백담사는 647년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로, 이름 변경과 소실 및 재건을 거쳐 1783년 현재 이름으로 개칭되었으며, 내설악의 대표 사찰이자 만해 한용운의 저술 활동 장소, 전두환 전 대통령의 은둔 생활 장소로 알려져 있고,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기본선원이자 목조아미타불좌상 등 다수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 신라의 절 - 범어사
    범어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되어 임진왜란 이후 중건되었고, 조선시대 불교 탄압에도 존속하며 근대 고승들의 수행을 통해 선불교 전통을 계승하고, 현재도 한국 불교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사찰이다.
은적사 (대구 남구)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사찰
시대통일신라
소유대구광역시 남구
주소대구광역시 남구 앞산순환로 574-120 (봉덕동)
문화재청 ID21,00720000,22
웹사이트문화재청

2. 역사

은적사는 926년(경애왕 3년) 고려 왕건의 명으로 영조대사가 창건하였다.[2] 1644년(인조 22년) 임진왜란으로 폐허가 된 이후 취감대사가 중창하였으며, 1947년 주지 해응이 재건하였다.[2] 1978년 주지 종원이 대웅전을 중건하고, 1981년 주지 장윤이 부설 룸비니유치원을 설립하였다.[2] 1986년 주지 사요는 삼성각, 법해당, 종무소를 중건하였으며, 1992년 요사채와 후원채를 다시 세웠다.[2] 1998년 주지 회룡, 2003년 주지 허운, 2006년~2014년 주지 허주가 재창하였고, 2014년 12월 주지 원일이 부임하였다.[2]

2020년 주지 원일이 설법전과 공양간을 신축하면서 가람 구조가 ‘ㄷ’ 자에서 ‘ㅁ’ 자 형태로 변화하였다.

은적사는 창건 이후 일시적으로 역사 기록에서 사라졌지만, 1779년 『범우고』에 성불산에 위치한 사찰로 기록되었고, 이후에도 여러 문헌에 등장하며 일제강점기까지 사세를 유지해온 것으로 보인다.

2. 1. 이름의 유래

'''은적사'''라는 이름은 왕건이 후백제 견훤과의 전투에서 크게 패한 뒤 이곳에 피신한 일화에서 유래되었다. 위기에 빠진 왕건은 신숭겸의 지략으로 절 뒤편의 동굴에 숨어 3일간 머무른 후 탈출하여 위기를 벗어날 수 있었다. 이후 왕위에 오른 왕건은 그 동굴이 있는 곳에 사찰을 짓도록 명하였고, 그때 지어진 사찰이 바로 현재의 은적사이다. ‘은적(隱蹟)’이라는 이름은 ‘숨다’는 의미의 ‘은(隱)’과 ‘자취’를 뜻하는 ‘적(跡)’에서 유래되었다.[1]

2. 2. 연혁

926년 (경애왕 3년) 고려 태조 왕건의 명으로 영조대사가 은적사를 창건하였다.[2] 1644년(인조 22년) 임진왜란으로 폐허가 된 이후 취감대사가 중창하였으며, 1947년 주지 해응이 사찰을 재건하였다.[2] 1978년 주지 종원이 대웅전을 중건하고, 1981년 주지 장윤이 부설 룸비니유치원을 설립하였다.[2] 1986년 주지 사요는 삼성각, 법해당, 종무소를 중건하였으며, 1992년에는 요사채와 후원채를 다시 세우고 도량의 면모를 새롭게 했다.[2] 1998년 주지 회룡, 2003년 주지 허운, 2006년~2014년 주지 허주가 재창하였고, 2014년 12월에 주지 원일이 부임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2]

2020년 주지 원일이 설법전과 공양간을 신축하면서 가람 구조가 ‘ㄷ’ 자에서 ‘ㅁ’ 자 형태로 변화하였다.

은적사는 창건 이후 일시적으로 역사 기록에서 사라졌지만, 1779년 『범우고』에 성불산에 위치한 사찰로 기록되었고, 이후에도 여러 문헌에 등장하며 일제강점기까지 사세를 유지해온 것으로 보인다.

3. 현황

은적사는 다양한 불교 행사와 사회 공헌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는 사찰이다. 불교의 주요 명절마다 법회를 열고, 어려운 이웃을 돕는 봉사활동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다. 또한, 어린이, 청소년, 일반인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문화 행사도 운영하고 있다.

3. 1. 활동 사항

은적사에서는 불교의 5대 명절인 석가모니의 출가일, 열반일, 탄신일, 백중일, 성도 재일을 중요시하며, 다양한 불교 행사를 꾸준히 개최하고 있다. 매년 정초 기도 법회, 칠석 기도, 동지 기도 및 매월 음력 초하루 기도 및 칠성, 지장, 관음 재일 기도를 정기적으로 봉행하고 있다. 또한, 불우 이웃과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물품 기증과 봉사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으며, 저소득층 아이들을 위한 '인적사 룸비니 유치원'도 운영하고 있다.[3]

1982년에 창단된 룸비니 어린이합창단은 대구 지역에서 불교 음성을 널리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은적사의 룸비니 유치원과 협력하여 음악을 통해 어린 불자들의 꿈과 희망을 표현하는 가을 가족음악회 등 다양한 행사를 주최하고 있다. 이 음악회는 어린이들의 마음을 맑고 희망차게 만들어주는 기회를 제공하며, 은적사의 주지 원일스님의 뜻에 따라 매년 정기적으로 진행된다.[4]

또한, 은적사는 미혼모를 위한 산사음악회와 한문학당을 2005년부터 운영해 오고 있으며, 매년 봄과 가을에는 불교 기초 입문 과정을 통해 새로운 불자들을 양성하고 있다. 지역 내 경제적으로 어려운 대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매년 연말에는 성금을 기탁하는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다.

어린이들을 위한 숲속 여름불교학교를 개설하여 여름방학 동안 부처님을 찾고 자연과 교감하는 활동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불교의 가르침을 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명상 프로그램도 운영하여 불교 신도들과 일반 시민들에게 내면의 평화를 찾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5][6]

3. 2. 조직 및 시설

은적사는 중심 불전인 대웅전과 삼성각, 설법전, 승려들의 수행 공간인 법해당, 그리고 종무소를 포함한 요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7]

3. 2. 1. 대웅전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식 팔작 기와지붕 구조이다. 내부에는 17세기에 봉안된 목조석가여래좌상이 불단에 모셔져 있다. 이 좌상 뒤에는 후불탱화인 영산회상도와 함께 지장탱화, 신중탱화가 배치되어 있다. 지장탱화는 1888년 금어 우송에 의해, 신중탱화는 1958년에, 동종은 1995년에 조성되었다.[8]

3. 2. 2. 삼성각

맞배 기와지붕 구조로, 내부에 근래에 조성된 목각 칠성탱, 산신탱, 독성탱이 봉안되어 있다.

3. 2. 3. 설법전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 기와지붕 구조로, 대웅전 마당에서 보면 단층이지만 앞쪽에서 보면 2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아래층은 공양간이다.

3. 2. 4. 법해당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구조로, 승려들의 수행 공간으로 사용된다.

3. 2. 5. 종무소와 요사

종무소를 겸한 요사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 기와지붕 구조로 되어 있다.

참조

[1] 웹인용 대한불교조계종 은적사 - 사찰안내 http://www.eunjeoksa[...] 2024-10-12
[2] 웹인용 대한불교조계종 은적사 - 연혁 http://www.eunjeoksa[...] 2024-10-12
[3] 웹인용 은적사 - 대구역사문화대전 https://www.grandcul[...] 2024-10-12
[4] 웹인용 대구 은적사, 룸비니 가을 가족음악회 개최 https://www.ibulgyo.[...] 2024-10-12
[5] 웹인용 대구 은적사, 숲속여름불교학교 개최 http://www.beopbo.co[...] 2024-10-12
[6] 웹인용 대구 앞산 은적사 불교대학, 3개월 과정의 명상 프로그램 개강 https://news.bbsi.co[...] 2024-10-12
[7] 저널 은적사 (隱寂寺)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8] 웹인용 "[굿모닝 내셔널]대구 곳곳 남아 있는 '왕건 탈출로'…지금은" https://www.joongang[...] 2024-10-12
[9] 웹인용 은적사(대구) > 상세 - 관광지·명소 - 열린관광 모두의 여행 https://access.visit[...] 열린관광 모두의 여행 2024-1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